살면서 누구나 격고 사는 게 갈등 아닐까 직장 내에서의 갈등, 가족 간의 갈등, 고부간의 갈등 그 외 등등.. 그러나 피하려 하면 더 많은 갈등이 생길 것이다. 피하지 말고 어떻게 관리할까 어떻게 해결할까를 고민하는 편이 더 빠르지 않을까.
갈등의 원인을 분석한다.
갈등이 생긴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본다. 갈등 요인은 아주 여러 가지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가 엮여서 발생한다.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내면 우려하는 부분을 찾아내고 표현하여 자신의 관점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 갈등을 일으킨 결정적 요인이 무엇인지 나 자신에게 몇 가지 질문을 해본다. 화가 나는가? 왜 그런가? 무엇을 얻지 못하였는가? 화를 내는가 정당한가? 과민반응은 아닌가? 함께 엮인 인물들은 누구누구인가?
* 문제의 목록을 만들어보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때는 이렇게 겹치는 부분이 문제일 수도 있다.
* 혼자 내적 갈등을 겪는 경우도 있다 내 안에 존재하는 갈등도 있으니 파악해 보자. 자신의 감정선을 따라가 보며 원일을 찾기 위해 자신의 갈등을 메모해 보자.
침착하게 공동의 목표에 초점을 맞추자
냉장힘을 유지하자 나의 문제의 갈등인지 다른 사람의 문제의 갈등인지 침착함을 유지하면서 초점을 둔다면 공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어떤 문제든 공동의 목표는 문제해결을 파악하는 지름길이고 문제를 공정하게 해결하는 것이다. 이목표를 우선순위에 두고 목표해결을 위해 함께 가자.
* 갈등을 피하지 말고 인정하고 정면돌파하여 성장기회로 삼자.
* 너무 부담스럽거나 불안할 때에는 정면으로 마주하기 전 한발 뒤로 물러서 보자 둘 중 하나라도 감정이 있는 상태라면 문제해결은 어렵다.
그 사람을 문제로부터 분리시켜 보자
사람이 아닌 문제에 초점을 맞추자 상대방의 성격 탓이 아니라 구체적인 문제의 성격이나 행동을 바라보면 양쪽모두 개의 적인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알기에 문제의 해결이 쉬워진다.
* 예를 들어 사무실에서 지장을 주는 사람이 있을 때 그 사람을 비난하기보다는 그 사람의 잘못된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문제를 최소화하자는 것이다, 이런 분위기일 때 "넌 참 거슬리고 예의가 없지?"보다는 " 오늘 좀 산만하네"라고 얘기하자
들어주는 사람이 되자
경청은 열려있고 존중적인 소통이 된다. 사회생활에서 경청은 상대방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도구가 된다. 상대방이 이야기할 때는 말을 끊거나 임의대로 판단하지 말고 상대방이 자기의 입자를 다 이야기할 수 있도록 시간을 주자. 지속적으로 눈을 맞추며 경청해 주자.
* 상대방의 이야기가 다 끝날 때까지 들어주고 끝나면 의견이나 질문을 하자.
* 눈알 굴리기, 다른 생각하기, 팔짱 끼고 듣기, 볼펜 돌리기 등을 하며 말을 듣는다면 상대방은 반감이나 분노를 느낄 것이다. 개인적인 판단이나 행동이 없어야 상대방은 나를 신뢰를 얻을 것이다.
* 상대방의 입장을 공감하고 끄덕이거나 하는 반응을 보이며 이해하려는 모습을 보인다면 서로 동의하는 게 쉬워질 것이다.
자신이 입장을 밝히자
자신의 느낌, 감정,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자신의 입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자. 자신의 필요와 감정전달을 위해서는 '나-전달법' 사용하는 게 좋다.
* '넌 내 말을 절대 듣지 않아'라는 비난의 말보다는 '가끔 넌 내 말을 받아들이지 않는 느낌을 받아'라는 말로 얘기해 보자.
* 구체적인 느낌을 전달해 보자 직장에서 내 아이디어가 간과된다고 느꼈을 때 '어제 노트에 제 프로젝트가 반영되지 않아서 실망했어'
* 내적 갈등일 경우는 자신의 감정을 파악할 때까지 시간을 가져보자 슬픔, 불안, 분노, 불만 등의 감정일지라도 그 이유와 요인을 인지하고 찾아보자
상황을 되돌아보자
모든 관련된 사람에게 내가 상대방의 고민을 이해하고 듣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이해시키자. 자신의 입장을 이해하지도 못하면서 라는 오해에서 문제의 갈등은 시작된다. 두 사람의 대화를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고 상대방이 무슨 이야기를 했는지 되새겨 보자
* 상황을 되새긴 다음에는 상대방과 확인한다. 문제가 무엇인지 이해하고 수정하면 상대방도 서로 이해하고 있는 문제를 맞혀볼 수 있다.
* 난관에 빠지면 문제의 상황을 다시 생각해 보고 상대방과 문제를 분석할 수 있도록 잠시 휴식을 갖는다. 그리고 언제 다시 시간을 가질 것인지 구체적으로 날짜와 시간을 정하자.
* 지난 대화내용을 정리하여 상대방에게 보내는 방법도 좋을 것이다. 요약을 하면 상황에 대한 이해로 두 사람이 같이 책임을 질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생각과 말을 가지 인간에게 갈등은 없을 수 없다. 다만, 모든 문제에는 원인이 있고 과정이 있고 결과가 있게 마련이다. 문제는 소통이 잘 못 되었음을 알고 충분히 시간을 갖고 서로 이해하려는 마음이 생길 때 해결된다고 본다.
출처
https://ko.wikihow.com/%EA%B0%88%EB%93%B1-%ED%95%B4%EC%86%8C%ED%95%98%EB%8A%94-%EB%B2%95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15가지 방법
살아가면서, 특히 직장에서 갈등을 피할 수 있을까? 피하기 보다는 어떻게 관리할까를 고민하는 게 나을 것이다. 갈등은 우리 삶 속에 자연스러운 한 부분이지만 공감과 존중으로 극복할 수 있
ko.wikihow.com
'정보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위원회(보도자료)제2차 금융분야 보이스피싱 대책발표,신종 보이스피싱 피해 사례와 그 예방법 (0) | 2023.03.29 |
---|---|
알면 쉽고 모르면 어렵다! 브러진 코르크 마개 빼는 법 (0) | 2023.03.29 |
금융이슈,자영업자·소상공인을 위한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확대 시행 (0) | 2023.03.26 |
청년도약계좌, 5년 모으면 5천만원, 6월 출시 미리 알려드려요 (0) | 2023.03.26 |
봄꽃의 개화시기, 개나리, 개나리와 유사종 (0) | 2023.03.25 |
댓글